부모님이 치매에 걸리셨을때 할일 해야할일 대처
1. 보건소 치매 센터 방문하기
1차로 무료 K-MMSE 치매검사 받고 점수가 낮으면
2차로 보건소 지정 병원에 가서 뇌 CT찍기(무료)
뇌 CT에서 하얀 작은 점이 찍혀 나오면 치매 판정
그 외 신경과나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정밀 검사를 받는 방법도 있습니다.
MRI, 혈액검사, 인지기능검사(MMSE, CDR 등) 등을 통해 치매의 유형(알츠하이머형, 혈관성, 루이소체 등)을 파악합니다.
2. 치매 단계와 유형에 맞는 치료 시작
⊙ 약물치료 : 도네페질, 리바스티그민, 메만틴 등 인지기능 개선제 투여
⊙ 비약물 치료 : 인지재활치료, 운동치효, 미술·음악·원예치료 등
3. 장기 요양 급여 신청하기
장기 요양은 크게 2가지로 나뉘는데
- 요양 병원에 들어갈 수 있는 시설 요양 등급
- 집에 요양보호사가 방문하는 재가 요양 등급
신청은 가까운 건강 보험 공단에 장기요양등급 신청
방문 조사 후 등급(1~5등급 및 인지지원등급) 판정
혜택 :
요양보호사 방문, 주야간보호센터 이용
요양원/요양병원 입소 시 지원
인지재활 서비스, 기저귀·요양용품 제공 등
4. 일상생활 환경 정비
낙상 위험 줄이기: 바닥 미끄럼 방지, 문턱 제거
복약 도우미 사용: 알람, 약 정리함
가스차단기 설치, 문에 경보기 부착
치매안심센터 등록: 각 지자체에서 무료 지원 프로그램 제공
5. 재산 및 법적 보호 준비
치매가 진행되면 법적 판단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사전 준비가 중요합니다.
성년후견제도: 부모를 대신해 재산과 권리를 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제도
한정후견/임의후견제도 고려
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(원할 경우)
재산상황 파악 및 금융계좌 정리
6. 가족 간 역할 분담 및 감정 조율
간병인, 형제자매 간 역할 분담 필요
간병 스트레스, 감정 소모 크기 때문에 심리상담도 필요할 수 있음
부모님의 존엄성, 자존감 유지를 위한 배려 중요
7. 요양시설 or 재택 간병 여부 결정
상태에 따라 재택 간병, 주야간보호센터, 요양병원, 요양원 등 선택
등급에 따라 정부 지원금 적용 여부도 달라지므로 비용 계획 철저히 세우기
8. 치매에 대한 지식과 이해 키우기
치매 환자는 기억이 사라져도 감정은 남아 있습니다.
반복, 공격성, 환각, 망상 등 증상은 병의 일부이므로 개인에 대한 비난 금지
국가치매포털, 치매안심센터 등에서 교육자료 활용
9. 도움이 되는 기관 및 서비스
치매안심센터(보건소), 국민건강보험공단, 성년후견제 지원센터, 치매국가책임제 사이트, 지역 요양보호사 센터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마트 검단점 주차장 무료 주차비 주차요금 휴점일 휴무일 층별안내 영업시간 고객센터 전화번호 (4) | 2025.06.29 |
---|---|
이마트 강릉점 주차장 주차요금 무료 주차비 휴무일 휴점일 영업시간 층별안내 고객센터 (6) | 2025.06.29 |
행복 호르몬 종류 이름 도파민 세로토닌 옥시토신 엔돌핀 엔도르핀 높이는 방법 음식 (2) | 2025.06.25 |
왕관반지 의미 뜻 손가락 위치 의미 수능반지 수능선물 추천 (4) | 2025.06.23 |
죽기전에 가봐야 할 곳 국내여행 100 추천 한국 명소 여행지 (7) | 2025.06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