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

부모님이 치매에 걸리셨을때 할일 해야할일 대처

by 친절한정보통통 2025. 6. 29.
728x90
728x90

 

 

부모님이 치매에 걸리셨을때 할일 해야할일 대처

 

 

 

 

1. 보건소 치매 센터 방문하기

1차로 무료 K-MMSE 치매검사 받고 점수가 낮으면

2차로 보건소 지정 병원에 가서 뇌 CT찍기(무료)

뇌 CT에서 하얀 작은 점이 찍혀 나오면 치매 판정

 

그 외 신경과나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정밀 검사를 받는 방법도 있습니다.

MRI, 혈액검사, 인지기능검사(MMSE, CDR 등) 등을 통해 치매의 유형(알츠하이머형, 혈관성, 루이소체 등)을 파악합니다.

 

2. 치매 단계와 유형에 맞는 치료 시작

⊙ 약물치료 : 도네페질, 리바스티그민, 메만틴 등 인지기능 개선제 투여

⊙ 비약물 치료 : 인지재활치료, 운동치효, 미술·음악·원예치료 등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3. 장기 요양 급여 신청하기

장기 요양은 크게 2가지로 나뉘는데

- 요양 병원에 들어갈 수 있는 시설 요양 등급

- 집에 요양보호사가 방문하는 재가 요양 등급

신청은 가까운 건강 보험 공단에 장기요양등급 신청

방문 조사 후 등급(1~5등급 및 인지지원등급) 판정

혜택 : 

요양보호사 방문, 주야간보호센터 이용

요양원/요양병원 입소 시 지원

인지재활 서비스, 기저귀·요양용품 제공 등

 

4. 일상생활 환경 정비

낙상 위험 줄이기: 바닥 미끄럼 방지, 문턱 제거

복약 도우미 사용: 알람, 약 정리함

가스차단기 설치, 문에 경보기 부착

치매안심센터 등록: 각 지자체에서 무료 지원 프로그램 제공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5. 재산 및 법적 보호 준비

치매가 진행되면 법적 판단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사전 준비가 중요합니다.

성년후견제도: 부모를 대신해 재산과 권리를 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제도

한정후견/임의후견제도 고려

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(원할 경우)

재산상황 파악 및 금융계좌 정리

 

 

 6. 가족 간 역할 분담 및 감정 조율

간병인, 형제자매 간 역할 분담 필요

간병 스트레스, 감정 소모 크기 때문에 심리상담도 필요할 수 있음

부모님의 존엄성, 자존감 유지를 위한 배려 중요

 

 

728x90

 

 

 7. 요양시설 or 재택 간병 여부 결정

상태에 따라 재택 간병, 주야간보호센터, 요양병원, 요양원 등 선택

등급에 따라 정부 지원금 적용 여부도 달라지므로 비용 계획 철저히 세우기

 

 8. 치매에 대한 지식과 이해 키우기

치매 환자는 기억이 사라져도 감정은 남아 있습니다.

반복, 공격성, 환각, 망상 등 증상은 병의 일부이므로 개인에 대한 비난 금지

국가치매포털, 치매안심센터 등에서 교육자료 활용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9. 도움이 되는 기관 및 서비스

치매안심센터(보건소), 국민건강보험공단, 성년후견제 지원센터, 치매국가책임제 사이트, 지역 요양보호사 센터

 

 

 

 

 

728x90
728x90
그리드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