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

ki-67 지수 10% 20% 30% 40% 1% 4% 5% 저등급 중등급 고등급 유방암 암종류 면역조직화학검사 염색

by 친절한정보통통 2025. 4. 19.
728x90
728x90

 

 

 

ki-67 지수 10% 20% 30% 40% 1% 4% 5% 저등급 중등급 고등급 유방암 암종류 면역조직화학검사 염색

 

 

 

 

 

Ki-67은 세포 증식과 관련된 단백질로, 병리학 및 종양학에서 세포의 증식 정도를 평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.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드릴게요.

 

🔬 Ki-67이란?

Ki-67은 세포핵 내에 존재하는 단백질로, 세포가 분열 중이거나 증식하고 있을 때만 발현됩니다.

이름은 처음 발견된 항체(코드명 Ki-67)에서 유래했으며, 이 항체는 독일 킬(Kiel)에서 만들어졌습니다.

 

📈 Ki-67의 역할

세포주기 중 G1, S, G2, M기에서는 발현되지만, G0기(세포가 휴지 상태일 때)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.

즉, Ki-67은 **활발히 증식 중인 세포의 마커(marker)**로 사용됩니다.

 

 

🧫 Ki-67 검사의 의의

병리학에서 Ki-67 발현 정도를 측정하면, 조직의 증식력을 확인할 수 있어 다음과 같은 데에 유용합니다:

🔍 1. 암 조직의 증식 정도 평가 Ki-67 지수(Ki-67 labeling index)를 통해 암세포가 얼마나 빠르게 자라는지 추정 가능.

예: 유방암, 전립선암, 신경내분비종양, 뇌종양(예: 교모세포종) 등에서 많이 사용.

 

📊 2. 치료 방침 결정

Ki-67 지수가 높을수록 세포 증식이 활발하다는 의미이며, 이는 일반적으로 예후가 나쁘고 공격적인 암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.

따라서 항암치료나 방사선치료가 필요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참고됩니다.

ki-67은 단독 지표가 아니고, 항상 다른 병리학적 요소(예 : 종양 크기, 등급, 림프절 전이, 다른 생체표지자 등)와 함께 해석해야 정확합니다.

일부 암에서는 ki-67이 낮아도 다른 위험 요소가 있다면 예후가 나쁠 수도 있습니다.

 

 

◈ ki-67 지수 해석

▣ ki-1%의 일반적인 해석(1%는 100개의 세포 중에 증식하는 양성 세포가 1개라는 뜻입니다)

⊙ 세포의 대부분이 비활성 상태(G0기)에 있다는 뜻

⊙ 종양의 성장 속도가 느리고, 비교적 천천히 자라는 종양이라는 것을 암시함

⊙ 따라서 저등급(저악성도)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
 

 

 

 

🧪 검사 방법

조직검사 샘플을 확보한 뒤, 면역조직화학염색(Immunohistochemistry, IHC)으로 Ki-67 단백질 발현을 확인합니다.

병리과에서 현미경으로 Ki-67 양성 세포의 비율을 측정하여 지수(%)로 표현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728x90

 

 

 

ki-67 지수 등급

 

 

◈ 암종별 ki-67 등급 기준 예시

 

1. 신경내분비종양

 

 

 

 

2. 🩺 유방암 (Breast Cancer)

Ki-67 cut-off 기준은 명확히 정해진 건 아니지만, 일반적으로:

⊙ <10~14%: 저등급 (루미날 A형 가능성)

⊙ 15~20%: 중간

⊙ >20%: 고등급 (루미날 B형 이상 가능성)

유방암 아형 결정 및 항암치료 여부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
 

3. 🧬 림프종 (Lymphoma)

⊙ Ki-67 >80~90% → 고등급 림프종(Burkitt lymphoma 등) 의심

⊙ 낮은 Ki-67 → 저등급 림프종 (follicular lymphoma 등)

 

4. 🧠 뇌종양 (예: 교모세포종 등)

⊙ <10%: 저등급 교종 가능

⊙ >20–30% 이상: 고등급 교모세포종 가능

정확한 해석은 WHO CNS 분류 기준에 따릅니다.

 

5. 🧴 전립선암

⊙ Ki-67이 높을수록 Gleason score도 높을 가능성

⊙ 고위험군: Ki-67 >10% 정도로 보는 연구도 있음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Ki-67 지수는 다양한 암종(종양)에서 사용되며, 특히 종양의 증식 정도나 예후(병의 경과), 그리고 치료 결정에 큰 도움을 줍니다. 아래에 대표적으로 Ki-67 지수가 사용되는 암종을 정리해 드릴게요.

 

 

🔬 Ki-67 지수가 사용되는 대표 암종

 

1. 유방암 (Breast Cancer) 가장 대표적으로 Ki-67을 많이 보는 암.

⊙ Ki-67 지수는 루미날 A vs 루미날 B 아형 구분에 사용됨.

⊙ 지수가 높으면 항호르몬치료 + 항암치료 고려됨.

⊙ 예후 판단 및 치료 전략 수립에 핵심적인 지표.

 

2. 전립선암 (Prostate Cancer)

⊙ Ki-67 지수는 Gleason score와 함께 예후 평가에 사용.

⊙ 높은 Ki-67 지수는 더 공격적인 병기나 전이 가능성을 시사.

 

3. 신경내분비종양 (Neuroendocrine Tumors, NETs)

Ki-67 지수로 등급(G1, G2, G3)을 나눔

⊙  G1: Ki-67 < 3%

⊙ G2: Ki-67 3–20%

⊙ G3: Ki-67 > 20%

이 지수는 치료 방침 및 생존율 예측에 직접 반영됨.

 

4. 뇌종양 (Brain Tumors)

⊙ 예: 교모세포종 (Glioblastoma), 수모세포종(Medulloblastoma) 등

⊙ Ki-67이 높을수록 예후가 나쁘고 재발 위험이 큼.

⊙ 악성도(Malignancy grade) 판단에 도움을 줌.

 

5. 림프종 (Lymphoma)

⊙ 특히 비호지킨 림프종(NHL)에서 종양 증식률 평가에 사용.

⊙ 높은 Ki-67은 고등급 림프종 가능성 시사.

 

6. 폐암 (Lung Cancer) 소세포폐암(SCLC) 등에서 치료 반응성 및 예후 추정에 사용.

비소세포폐암(NSCLC)에서도 제한적으로 활용됨.

 

7. 자궁내막암 / 자궁경부암

⊙ 고등급 자궁내막암(serous type 등)에서 Ki-67이 높음.

⊙ 치료 반응 및 병기 예측의 보조지표로 사용됨.

 

8. 췌장암 / 위장관암

⊙ 특히 **신경내분비종양(GEP-NETs)**에서 필수 지표.

⊙ 위장관암(위암, 대장암 등)에서도 일부 연구에서 예후 관련성 보고됨.

 

그 외에도 간세포암(HCC), 난소암, 갑상선암 등 다양한 암종에서 연구되고 있으며, 연구 단계에서 예후 예측 지표로 점차 사용 범위가 확대되는 추세예요.

 

 

 

 

 

728x90
728x90
그리드형